동해안권 투어
철원군 드라이브 코스
오래 전 용암이 땅을 뒤덮은 이후로 오랜 시간이 빚어온 철원 한탄강 지역의 자연은 신비롭고 웅장하다. 또한 치열했던 전장의 기억을 품은 이 땅에서는 평화와 문화, 자연과 삶의 공존을 마주할 수 있다.
커플 추천 코스
자연이 빚은 비경과 철원의 근대를 만나다
삼부연폭포
명성산 중턱의 화강암 지대에 자리 잡은 삼부연폭포는 높이 약 20m의 3단 폭포로 흐르는 물줄기가 웅장한 자태를 뽐낸다. 폭포 아래 세 개의 소 모양이 가마솥처럼 움푹 파여 ‘삼부연’폭포로 불린다. 철원 9경 삼부연폭포는 한탄강 지질공원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전망대에 오르면 겸재 정선이 그림에 담았던 폭포의 장관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주소 철원군 갈말읍 삼부연로 216 | www.cwg.go.kr
철원한탄강은하수교
별들로 이루어진 길을 따라 걸으며 한탄강을 위에서 내려다볼 수 있다. 바로 한탄강에 2020년 완공한 은하수교를 건너면 된다. 폭 3m, 길이 80m의 비대칭현수교로, 길이 80m 구간의 바닥은 유리로 만들어 스릴감이 넘친다. 지상 50m 높이에서 고대의 자연이 남긴 주상절리 절경을 감상하며 걷노라면 자연의 신비로움과 장쾌한 충만감을 한껏 느낄 수 있다.
주소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2581 | 시간 09:00-18:00(화요일 휴무) | www.cwg.go.kr
횃불전망대
한탄강의 새로운 랜드마크 횃불전망대가 불을 밝혔다. 2024년 12월에 정식 개장한 횃불전망대는 총 높이 53m로 ‘피사의 사탑’처럼 기울어진 형상을 하고 있다. 전망대에서는 드넓은 장흥리 평야와 은하수교, 태봉대교, 동송읍 시가지 등을 조망할 수 있고, 강화유리 바닥면을 통해 아찔한 스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밤이면 야간경관조명으로 주변을 온통 밝히는 횃불이 된다.
주소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70-13 | 요금 10,000원(5,000원은 철원사랑상품권으로 환급)
철원역사문화공원
철원역사문화공원에서는 1930년대 번성했던 철원읍의 근대적 시가지를 체험할 수 있다. 한국전쟁으로 무너진 철원극장, 사라진 철원역을 비롯해 철원경찰서와 은행 등 당시에 번성했던 건물들의 모습을 그대로 축소 복원해놓았다. 근대문화거리와 역사 전시 체험관을 비롯해 볼거리도 많고, 철원역에서 모노레일을 타고 소이산 정상에 올라 철원평야를 감상할 수도 있다.
주소 철원군 철원읍 금강산로 262 | 시간 09:00-18:00(화요일 휴무) | www.cwg.go.kr
매운탕
철원의 별미로 한탄강 매운탕을 빼놓을 수 없다. 민물고기의 보고인 한탄강에서 잡은 메기를 비롯해 향어, 모래무지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민물고기 특유의 냄새가 없고 단단한 육질과 시원한 맛으로 활력을 북돋우는 자연보양식이다. 특히 철원의 메기 매운탕에는 여러 가지 한약재를 달여낸 육수를 사용하여 시원하고 깊은 국물 맛이 특색이다.
경치 좋은 코스
한탄강 협곡 따라 1억년 전 시간을 만나는 길
승일교
철원은 한국전쟁 후 남한에 편입된 수복 지구로, 승일교는 분단의 역사 흔적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전쟁 전 북한이 기초 공사와 교각 공사를 했고 전쟁 후 남쪽이 마무리 공사를 했다. 중앙을 기준으로 남한이 공사한 쪽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북한이 공사한 쪽은 아치형이다. 또한 승일교는 아름다운 한탄강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명소로도 손꼽힌다.
주소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 70-1
철원 고석정 꽃밭길
철원 고석정 꽃밭은 시즌마다 촛불맨드라미, 코스모스, 해바라기, 천일홍, 백일홍, 코키아, 구절초, 메밀꽃 등 색색깔 다채로운 꽃들이 다양한 꽃물결을 이룬다. 어린왕자 테마의 조형물이며 쪽배, 물레방아, 돌탑 등 다양한 포토존도 설치되어 예쁜 인생샷을 찍을 수 있다. 시즌별로 개장 시기가 다르고, 야간개장도 하므로 홈페이지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주소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1769 | 시간 09:00-19:00(화요일 휴무) | 요금 10,000원 | www.cwg.go.kr
고석정
한탄강 중류에 있는 누각 ‘고석정’은 철원 9경에 꼽히는 절경이다. 예부터 강 중앙에 우뚝 솟은 거대한 화강암인 고석바위 경관이 뛰어나 신라 진평왕이 건너편에 2층 누각을 짓고 고석정이라 명명했는데, 누각 일대의 현무암 계곡을 모두 고석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석바위 조선조 명종 때는 의적 임꺽정이 건너편에 석성을 쌓고 은거했다고 전해진다.
주소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1825 | www.cwg.go.kr
직탕폭포
한탄강 상류에 위치한 직탕폭포는 거대한 암반을 넘어 거센 물이 수직으로 쏟아져내려 장관을 이룬다. 직탕폭포는 화산이 분출할 때 만들어지는 지형인 육각형의 주상절리 절벽에서 장쾌한 물줄기가 쏟아내려 ‘한국의 나이아가라’로 알려진 비경이다. 높이는 약 3m이지만 너비는 약 80m에 이르는 직탕폭포는 웅장함과 기묘함, 아름다움이 어우러져 철원9경에 일컬어진다.
주소 철원군 동송읍 직탕길 94 | www.cwg.go.kr
철원해물칼국수
철원군에는 맛있기로 소문난 해물칼국수 노포들이 있다. 특히 얇게 민 밀가루 반죽을 잘게 썰어 끓여내는 손칼국수는 쫄깃한 면발이 더할나위 없고, 바지락이나 통오징어와 새우 등 다양한 해산물이 푸짐하게 들어가 비주얼로도 맛으로도 고객을 사로잡는다.
경치 좋은 코스
겨울 철새의 군무를 만나는 길
동송시장
6·25 이후 이 지역주민들이 생활필수품을 물물교환 하기 위해 자생적으로 발생한 시장이다. 철원에서 생산되는 각종 농특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철원군에서 가장 큰 시장이며 오대쌀, 농산물, 식당, 의류, 잡화, 주방기구, 어류 등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먹거리 시장이 유명하며, 매월 끝자리 5, 10일에 장이 선다.
주소 철원군 동송읍 이평로47번길 21
학저수지
한탄강은 겨울 철새들의 쉼터다. 그 중에서도 학저수지에는 매년 1500여 마리의 백로가 찾아와 학마을이라 불린다. 학저수지는 일제강점기 때 농업용저수지로 설비하였다가 광복 후 보수확장한 인공저수지이다. 다량의 수생식물과 어종이 서식하고 주변경관이 빼어나며, 학저수지에서 바라보는 노을이 아름다워 사진 촬영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주소 철원군 동송읍 학마을길 68 | www.cwg.go.kr
도피안사
철원 화개산 자락에 위치한 도피안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5년(865년)에 창건되었다. 도선국사가 현 위치를 발견하고 철조비로사나불좌상을 봉안하고 영원한 안식처인 피안에 이르렀다 하여 도피안사로 이름 지었다고 한다. 철조비로사나불좌상은 국보로 보호되고 있으며, 사찰 설립 때 조성한 삼층석타불도 보물로 보존되고 있다. 도피안사에서 평안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주소 철원군 동송읍 도피동길 23 | www.cwg.go.kr
토교저수지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는 토교저수지는 천연기념물인 두루미와 재두루미가 월동하는 철새도래지로 유명하다. 때문에 매년 1월 1일, 토교저수지는 철새들과 함께 새해를 맞이하는 독특한 해맞이 행사가 열리곤 했다. 새벽이면 수천 마리의 철새들이 일제히 날아오르는 장관이 펼쳐지는데, 그 모습을 사진에 담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출사를 나오는 명소다.
주소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 866
오대쌀밥
철원오대쌀은 철원평야에서 나온 쌀로 밥맛 좋기로 유명하다. 이 오대쌀을 전문으로 선보이는 밥집에 들러, 오대쌀로 지은 건강한 한정식을 맛보도록 하자. 갓 지은 쌀밥은 씹을수록 고소해 한 그릇 금세 뚝딱이고, 쌀밥과 잘 어울리는 밑반찬이 한 상 가득해 건강한 식사를 즐길 수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